CHIDILight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CHIDILight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틀:팬택 안드로이드 기기 목록}} | {{틀:팬택 안드로이드 기기 목록}} | ||
{{틀:베가 아이언 시리즈}}<br> | {{틀:베가 아이언 시리즈}}<br> |
2024년 7월 17일 (수) 18:32 판
팬택 안드로이드 기기 목록 | ||||||
---|---|---|---|---|---|---|
펼치기 / 접기 ▾
|
베가 아이언 시리즈 | ||
---|---|---|
베가 아이언 | 베가 아이언2 |
베가 아이언 | VEGA IRON 단언컨대, 메탈은 가장 완벽한 물질입니다. | ||
---|---|---|
![]() |
[[]] | ![]() |
화이트 로즈 핑크 | 화이트 샴페인 골드 | 화이트 샤이니 실버 |
[[]] | [[]] | [[]] |
블랙 골드컷 | 블랙 레드컷 | 블랙 실버컷 |
공식 홈페이지 아카이브 |
기본 정보 | ||
---|---|---|
모델명 | IM-A870S/K/L | |
코드네임 | EF52S/K/L | |
개발 기간 | 2012년 ?월 ~ 2013년 ?월 | |
공개일 | 2013년 4월 18일 | |
출시일 | 2013년 4월 26일 | |
후속작 | {{{후속작}}} | |
출고가 | 824,900원 |
개요
팬택 베가 아이언(Pantech VEGA IRON)은 팬택이 2013년 상반기에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다.
상세
팬택이 베가 R3 이후 새롭게 선보인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베가 아이언 시리즈의 첫 번째 스마트폰이다. 2013년 4월 18일 상암동 팬택 R&D센터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첫 공개되었다. 동년 4월 26일 화이트 색상 한정으로 출시되었으며, 이후 5월 7일 블랙 색상이 출시되었다.
베가 아이언2와 함께 팬택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기기 중 하나이다.
스펙
프로세서 | 퀄컴 스냅드래곤 600 (APQ8064T) ▾
| |||||||||
---|---|---|---|---|---|---|---|---|---|---|
RAM | 2 GB, LPDDR2 SDRAM | |||||||||
스토리지 | 내장 | 32 GB, eMMC 4.41 | ||||||||
외장 | microSDXC, OTG | |||||||||
디스플레이 | 5.0인치 HD(1280 x 720) TFT-LCD ▾
| |||||||||
카메라 | 후면 | 1,300만 화소, AF, LED 플래시 ▾
| ||||||||
전면 | 210만 화소 ▾
| |||||||||
배터리 | 2,150 mAh 탈착형 (BAT-7600M) ▾
| |||||||||
통신 | LTE Cat.3, VoLTE, Wi-Fi 5, 블루투스 4.0, NFC | |||||||||
소프트웨어 | OS |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 → 4.4.2 (킷캣) | ||||||||
UI | 플럭스 UI 2.0 | |||||||||
단자 | USB 2.0 마이크로 Type-B, 3.5 mm 단자 | |||||||||
규격 | 크기 | 가로 67.6, 세로 136.3, 얇기 8.8 mm | ||||||||
무게 | 153 g(블랙), 154 g(화이트) | |||||||||
센서 | - | |||||||||
기타 | - | |||||||||
'▾' 표시를 누르시면 추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디자인
전체적인 디자인은 베가 S5나 베가 No.6와 같은 각진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기기 테두리에 SUS304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해 내구성을 크게 강화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 절연 띠나 끊김이 없는 엔들리스 메탈을 사용했으며 이는 블랙베리와 소니에 이어 세 번째로 적용한 것이다. 전파 수신 문제의 경우 금속 소재 자체를 안테나로 활용해 해결했다. 프레임 모서리 부분의 디자인은 팔각형에 가깝게 디자인 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오른쪽 위 모서리 끝 부분을 투명하게 마감해 7색 LED를 탑재했으며 전/후면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하다.
전면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베가 R3와 비슷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 베젤을 크게 줄여 화면 면적을 75.5%까지 끌어올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물리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 하단에는 베가 로고가 존재하고 있다.
후면 디자인은 기존 팬택 스마트폰들과 차이점이 상당히 큰 편이다. 일단 카메라와 LED 플래시가 좌측 상단에 위치해있으며, LED 플래시 아래에 스피커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 상단 LED 부분을 후면 커버로 모두 덮지 않고 잘라내어 메탈 소재를 강조했으며, 하단에는 베가 로고가 존재하고 있다.
측면 디자인은 메탈 소재를 제외하면 기존 팬택 스마트폰에 비해 크게 다른 부분은 없다.
색상은 블랙, 화이트 총 2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색상별로 프레임 모서리 부분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퍼포먼스
프로세서는 팬택 기기들 중 최초로 퀄컴 스냅드래곤 600 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퀄컴 크레이트 300 1.7 GHz 쿼드코어 CPU와 퀄컴 아드레노 418 600 MHz GPU로 구성되어 있다. 단, 스냅드래곤 600은 이전 스냅드래곤 S4 Pro 시리즈의 리네이밍/공정 안정화 버전이기 때문에 베가 R3나 베가 No.6과 같은 이전 세대 기기들과 성능 체감은 크지 않다.
기기 통신은 AP에 통신 모뎀이 따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퀄컴 고비 MDM9X15 모뎀이 별개로 내장되어 있으며, LTE Cat.3와 VoLTE를 지원한다. 또한 Wi-Fi 5[1]와 블루투스 4.0, GPS, 그리고 NFC를 지원한다.
RAM은 2 GB LPDDR2 SDRAM을 탑재했으며, 내장 메모리의 경우 eMMC 4.41 규격의 32 GB 메모리를 탑재했다. 외장 메모리로 OTG와 최대 2 TB 확장이 가능한 microSDXC를 지원한다.
배터리는 2,150 mAh로 이전 세대의 팬택 스마트폰보다 다소 작은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두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배터리를 희생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최대 5V 2A 충전을 지원한다.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는 HD 해상도의 5.0인치 High Bright In-cell IPS LCD 패널이 사용되었으며, 패널 제조사는 JDI이다. 주로 이전 스마트폰에 샤프디스플레이를 사용했던 것과는 다르게 JDI의 패널을 사용했는데, 이 또한 터치스크린 일체형 패널을 사용해 두께를 줄이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디스플레이의 품질 자체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면 강화유리는 고릴라 글라스 3를 사용했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되었다. 또한 전면 카메라는 21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되었다.
기타
단자 규격은 USB 2.0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Type-B 단자와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규격은 경쟁 기기인 삼성 갤럭시 S4와 크기 자체는 거의 비슷하지만,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153 ~ 154 g으로 크기에 비해 무게가 있는 편이다.
센서는 가속도, 근접, 조도, 지자기, 자이로 센서가 모두 탑재되었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을 기본 탑재했으며, 플럭스 UI 2.0을 최초로 탑재했다. 또한 아래 기능을 지원한다.
OS 업그레이드
공개 행사
베가 아이언은 팬택에서 칼을 갈고 나온 스마트폰이였으며, 그만큼 삼성이나 애플처럼 여러 언론사에 초대장도 보내고 공개 행사를 진행했었다. 장소는 상암 팬택 본사였으며, 2013년 4월 18일에 공개 행사가 열렸다. 공개 행사에서 이병헌이 공개 행사에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OS 업그레이드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소프트웨어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분해 및 하드웨어
분해 방법과 자세한 하드웨어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분해 및 하드웨어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커스터마이징
커스텀 펌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커스터마이징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출시 이전
출시 이전 정보와 프로토타입 기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출시 이전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문제점
- 배터리 용량이 2,150 mAh로 이전 세대의 팬택 스마트폰이나 경쟁 제품에 비해 배터리 지속 시간이 상당히 짧은 편이다.
-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다보면, 메탈 프레임이 휘어서 액정이 들려서 UV 본드 자국이 남는 현상이 존재한다.
각주
- ↑ Wi-Fi 802.11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