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DILight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CHIDILight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틀:베가 아이언 시리즈}} | {{틀:베가 아이언 시리즈}}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border: 2px solid #333333;"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 margin:auto; border: 2px solid #333333;" | ||
|- | |- | ||
| style="padding: 0px" | [[file:Iron2WhitePink.jpg]] | | style="padding: 0px" | [[file:Iron2WhitePink.jpg]]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333333; color:#FFFFFF; font-size: 24px; padding: 20px 0;" | 베가 아이언2 | VEGA IRON2 <br> <span style="font-size: 14px;">단언컨대, 가장 개인적인 메탈</span>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333333; color:#FFFFFF; font-size: 24px; padding: 20px 0;" | 베가 아이언2 | VEGA IRON2 <br> <span style="font-size: 14px;">단언컨대, 가장 개인적인 메탈</span> | ||
|-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span class="mw-customtoggle-myDivision">기본 정보 펼치기 / 접기 ▾ </span>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myDivision">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모델명 / 코드네임'''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13%;" | '''SKT''' | |||
| IM-A910S / EF63S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 '''KT''' | |||
| IM-A910K / EF63K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 '''LG U+''' | |||
| IM-A910L / EF63L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개발 기간''' | |||
| colspan="2" | 2013년 ?월 ~ 2014년 ?월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공개일''' | |||
| colspan="2" | 2014년 5월 8일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출시일''' | |||
| colspan="2" | 2014년 5월 12일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이전작''' | |||
| colspan="2" | [[베가 아이언]] | |||
|- | |||
| style="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width: 20%;" | '''출고가''' | |||
| colspan="2" | 783,200원[* SKT, KT, LG U+] → 352,000원[* SKT, KT, LG U+] → 330,000원[* SKT] | |||
|} | |||
</div>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333333; color:#FFFFFF; text-align: center; | [https://web.archive.org/web/20171011021732/http://www.ivega.co.kr/prt/productInfo.do?intprdseq=1384| 공식 홈페이지 아카이브] | |||
|} | |} | ||
== 개요 == | == 개요 == |
2024년 7월 15일 (월) 11:39 판
팬택 안드로이드 기기 목록 | ||||||
---|---|---|---|---|---|---|
펼치기 / 접기 ▾
|
베가 아이언 시리즈 | ||
---|---|---|
베가 아이언 | 베가 아이언2 |
![]() |
![]() |
![]() | ||||||||||||||||||||||
화이트 로즈 핑크 | 화이트 샴페인 골드 | 화이트 샤이니 실버 | ||||||||||||||||||||||
---|---|---|---|---|---|---|---|---|---|---|---|---|---|---|---|---|---|---|---|---|---|---|---|---|
![]() |
![]() |
![]() | ||||||||||||||||||||||
블랙 골드컷 | 블랙 레드컷 | 블랙 실버컷 | ||||||||||||||||||||||
베가 아이언2 | VEGA IRON2 단언컨대, 가장 개인적인 메탈 | ||||||||||||||||||||||||
기본 정보 펼치기 / 접기 ▾
| ||||||||||||||||||||||||
공식 홈페이지 아카이브 |
개요
팬택 베가 아이언2(Pantech VEGA IRON2)는 팬택이 2014년 상반기에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다.
상세
팬택이 베가 R3 이후 새롭게 선보인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베가 아이언 시리즈의 두 번째 스마트폰이다. 2014년 5월 8일 상암동 팬택 R&D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첫 [[1]][* 본래 공개 날짜는 4월 24일로 정해졌었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공개 행사를 [[2]]] 이후 5월 12일 [[3]]
스펙
||
<tablewidth=80%><tablebordercolor=#333><colbgcolor=#333><width=13%> {{{#fff 프로세서}}} ||<-2>퀄컴 스냅드래곤 801 (MSM8974AB){{{#!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 || {{{#fff RAM}}} ||<-2>3 GB, LPDDR3 SDRAM|| ||<|3> {{{#fff 스토리지}}} || ||<width=8%> {{{#fff 내장}}} ||32 GB, eMMC 4.5|| || {{{#fff 외장}}} ||microSDXC, OTG|| || {{{#fff 디스플레이}}} ||<-2>5.3인치 FHD(1920 x 1080) OLED{{{#!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 ||<|3> {{{#fff 카메라}}} || || {{{#fff 후면}}} ||1,300만 화소, f/2.0, AF, OIS, LED 플래시{{{#!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 || {{{#fff 전면}}} ||210만 화소{{{#!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 || {{{#fff 배터리}}} ||<-2>3,220 mAh 탈착형 (BAT-8100M){{{#!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 || {{{#fff 통신}}} ||<-2>LTE-2CA Cat.4, VoLTE, Wi-Fi 5, 블루투스 4.0, GPS, NFC|| ||<|3> {{{#fff 소프트웨어}}} || || {{{#fff OS}}} ||안드로이드 4.4.2 (킷캣)|| || {{{#fff UI}}} ||플럭스 UI 3.0|| || {{{#fff 단자}}} ||<-2>USB 2.0 마이크로 Type-B, 3.5 mm 단자|| ||<|3> {{{#fff 규격}}} || || {{{#fff 크기}}} ||가로 73.5, 세로 144.2, 얇기 7.9 mm|| || {{{#fff 무게}}} ||152 g(블랙 계열), 153 g(화이트 계열)|| || {{{#fff 센서}}} ||<-2>가속도, 근접, 조도, 지자기, 자이로|| || {{{#fff 기타}}} ||<-2>DMB 지원|| ||<-3> {{{#fff {{{-1 '▾' 표시를 누르시면 추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디자인
||

퍼포먼스
프로세서는 팬택 기기들 중 최초로 퀄컴 스냅드래곤 801 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퀄컴 크레이트 400 2.3 GHz 쿼드코어 CPU와 퀄컴 아드레노 330 578 MHz GPU로 구성되어 있다. 단, 스냅드래곤 801 라인업 중 스냅드래곤 800에 비해 GPU 클럭이 소폭 상승한 중간 라인업인 MSM8974AB를 사용했으며,[* 소니 엑스페리아 Z2와 같은 AP를 사용했으며, 경쟁 기종 중 하나인 삼성 갤럭시 S5의 경우 CPU 최대 클럭이 0.2 GHz 높은 MSM8974AC를 사용했다.] 스냅드래곤 801은 스냅드래곤 800의 리비전 AP이기 때문에 이전 세대 대화면 플래그십인 베가 시크릿노트에 비해 성능 체감은 크지 않고, 실제로 개발 초기에는 스냅드래곤 800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기기 통신은 AP에 퀄컴 스냅드래곤 X5 LTE 모뎀이 내장되어 있어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LTE Cat.4, VoLTE를 지원한다. 또한 Wi-Fi 5[* Wi-Fi 802.11ac]와 블루투스 4.0, GPS, 그리고 NFC를 지원한다.
RAM은 3 GB LPDDR3 SDRAM을 탑재했으며, 내장 메모리의 경우 eMMC 4.5 규격의 32 GB 메모리를 탑재했다. 또한, 외장 메모리로 OTG와 최대 2 TB 확장이 가능한 microSDXC를 지원한다.
배터리는 3,220 mAh로 2,150 mAh인 베가 아이언에 비해 용량이 상당히 늘어났으며, 실제로 베가 아이언에 비해 배터리 타임이 크게 향상되었다.[* 다만 현재는 많은 배터리가 노후화 된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배터리 효율이 나쁘다.] 또한, 5.3V 2A 충전을 지원한다.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는 Full-HD 해상도의 5.3인치 Super AMOLED 패널이 사용되으며, 패널 제조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다. 이는 팬택 플렉스 이후 오랜만에 OLED 패널을 적용한 것이다. 다만, 경쟁 기종 중 하나인 삼성 갤럭시 S5와 같은 2세대 패널이 아닌 삼성 갤럭시 S4, 갤럭시 노트3에 적용된 1세대 FHD 패널이 사용되어 품질은 낮은 편이다. 픽셀 배열은 RG-BG 다이아몬드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이며, 전면 강화유리는 고릴라 글라스 3를 사용했다. 또한 터치 민감도를 올려주는 슈퍼 센서티브 터치 를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소니 엑스모어 IMX214 센서를 사용하는 1,30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되었다. 조리개 값은 f/2.0이며, 광학식 손 떨림 방지(OIS)를 지원한다.[* 팬택에서는 여기에 소프트웨어 보정을 더해 Wide OIS라고 명명했다.] 동영상 촬영의 경우 4K UHD 촬영과 슬로우 모션 촬영을 지원한다. 또한 전면 카메라는 21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되었다.
기타
단자 규격은 USB 2.0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Type-B 단자와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규격은 디스플레이와 베젤의 크기가 베가 아이언에 비해 늘어나 기기 자체의 크기도 크게 늘어났으나, 메탈 소재가 비교적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변경되었고 베가 아이언에 비해 얇기를 0.9 mm 줄여 무게는 152 ~ 153 g로 베가 아이언과 거의 동일한 무게를 가지고 있다.
센서는 가속도, 근접, 조도, 지자기, 자이로 센서가 모두 탑재되었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안드로이드 4.4.2 킷캣을 기본 탑재했으며, 플럭스 UI 3.0을 최초로 탑재했다. 또한 아래 기능을 지원한다.
- 디자인 홈
- 라이브 업
- 투데이
주변 기기
- 시크릿 케이스
소프트웨어
{{{#!wiki style="margin: -23px 27px -30px"OS 업그레이드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2/소프트웨어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분해 및 하드웨어
{{{#!wiki style="margin: -23px 27px -30px"분해 방법과 자세한 하드웨어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2/분해 및 하드웨어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커스터마이징
{{{#!wiki style="margin: -23px 27px -30px"커스텀 펌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2/커스터마이징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출시 이전
{{{#!wiki style="margin: -23px 27px -30px"출시 이전 정보와 프로토타입 기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가 아이언2/출시 이전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문제점
- 디스플레이 관련
- 디스플레이의 수명이 나쁜 편이다. 번인 현상이 심한 편이며, 낮은 밝기에서 화면이 전체적으로 초록색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있다. 이는 주로 오래 사용한 기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현재는 거의 모든 기기가 노후화 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기기를 상당히 찾기 힘들다.
- 터치 패널의 품질 또한 나쁜 편이다.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삼성 갤럭시 S5나, 이전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3와 비교해도 터치 품질이 떨어진다.
- 배터리 관련
- 다른 팬택 기종들의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배터리가 부풀어버리는 스웰링 증상이 상당히 잘 발생한다. 자세한 내용은 BAT-8100M 문서 참조.
- 배터리의 상태가 나빠진 경우, 배터리 잔량이 50% 이하로 내려가면 고스트 터치 현상이 발생하거나 터치가 되지 않는 증상이 생기며, 화면을 껐다 키면 잠시 되돌아온다.
- 소재 관련
- 카메라 부위 소재로 강화유리가 아닌 아크릴 소재를 사용했는데, 이로 인해 카메라 부위가 스크래치에 상당히 취약하다.
- 블랙 계열 색상의 후면 커버는 우레탄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우레탄이 조금씩 녹아 끈적끈적해진다. 이로 인해 우레탄을 에탄올, 사포 등으로 밀어내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다.[1]
- 화이트 계열 색상의 초기 후면 커버는 시간이 지나면 누렇게 변색되는 증상이 있었다. 2015년 2월 이후 생산된 커버는 변색 증상이 개선되었다.
관련 영상
||- ↑ 아세톤을 사용하면 플라스틱의 색이 변질되거나 녹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