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디자인 === ||<table align=center><#fff><tablewidth=80%><tablebordercolor=#333>[[file:Iron2Image2.png]]||<#fff>[[file:Iron2Image3.png]]|| ||<:><-2><^|1><height=33> {{{#!folding 더 보기 ▾ {{{#!wiki style="margin: -20px 0px 5px" ||<#fff><tablewidth=100%>[[file:Iron2Image5.png]]||<#fff>[[file:Iron2Image4.png]]|| ||<#fff><-2><tablewidth=100%>[[file:Iron2Image1.png|width=360]]|| }}}}}}|| ||<#333><-2> {{{#fff '''공식 렌더링 이미지'''}}} || 전체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베가 아이언]]보다 기기 사이즈가 커져 약간 둥글어진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기기 테두리에 금속 소재를 사용해 내구성을 크게 강화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 베가 아이언과 동일하게 절연 띠나 끊김이 없는 엔들리스 메탈을 사용했다. 전파 수신 문제의 경우 금속 소재 자체를 안테나로 활용해 해결했다. 다만 베가 아이언에서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한 반면 베가 아이언2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사용해 내구성은 떨어졌으나, 메탈에 아노다이징 공정으로 색상을 넣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많은 색상을 제공했다. 팬택에서는 베가 아이언2의 엔들리스 메탈 하나를 제작하는데 30단계의 가공 가정을 거치며 총 26일의 소요 시간이 걸린다고 밝혔다. 전면 디자인은 [[베가 아이언]]과 디자인의 차이점이 큰 편이다. 일단 [[베가 LTE A]]부터 사용한 물리 버튼을 사용했으며, 물리 버튼의 디자인은 삼성 갤럭시 S2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베젤을 상대적으로 쉽게 줄일 수 있는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에도 베젤의 크기가 크게 늘어났다. 오른쪽 상단 7색 LED 부분의 포인트 또한 '핀라이트 LED' 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메탈에 작은 구멍이 뚫린 형태로 디자인 디테일이 크게 변했다.[* 구멍이 상당히 작게 뚫려 있기 때문에 LED를 확인하기 힘들어졌다. 이로 인해 구멍을 드라이버 등으로 크게 뚫는 사용자도 많다.] 후면 디자인은 마찬가지로 기존 팬택 스마트폰들과 차이점이 큰 편이다. 일단 카메라와 LED 플래시의 위치가 중앙으로 변경되었으며, 하단에 새로 적용된 베가 로고가 존재하고 있다. 베가 로고는 기기 색상에 따라 로고 색상 또한 각각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주위에 포인트 색상이 적용된 다이아몬드 컷팅 디자인을 사용했다. 백커버의 경우 화이트 색상의 경우 일반적인 플라스틱에 코팅이 된 재질을 사용했으나, 블랙 색상의 경우 플라스틱 위에 우레탄을 덧씌운 재질을 사용했다. 측면 디자인은 메탈 소재를 제외하면 기존 스마트폰에 비해 크게 다른 부분은 없으나, 스피커의 디자인을 왼쪽 하단 모서리에 ㄴ자로 적용해 스피커를 손으로 막는 경우를 크게 방지하였다. 색상은 크게 화이트 계열과 블랙 계열로 구분되며 화이트 로즈 핑크, 화이트 샴페인 골드, 화이트 샤이니 실버, 블랙 골드컷, 블랙 레드컷, 블랙 실버컷 총 6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화이트 계열은 메탈 자체의 색상이 각각 다르고, 블랙 색상은 다이아몬드 컷팅 부분의 포인트 색상만 다르게 디자인되었다. 테스트/베가 아이언2 문서로 돌아갑니다.